Felo.ai
고용보조지표 1,2,3
고용보조지표는 경제의 고용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로, 전통적인 실업률 외에도 다양한 고용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. 이 지표는 국제노동기구(ILO)의 권고에 따라 정의되며, 한국에서는 2015년부터 세 가지 고용보조지표를 발표하고 있습니다.
## **고용보조지표의 정의**
고용보조지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나뉩니다:
- **고용보조지표 1**: 조사대상 주간에 취업시간이 36시간 미만이고 추가 취업을 희망하는 '시간 관련 추가 취업가능자'와 실업자의 합을 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입니다.
- **고용보조지표 2**: '잠재경제활동인구'를 실업자에 포함하여 산출합니다. 잠재경제활동인구는 지난 4주간 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 기간에 취업을 희망하고 취업이 가능한 '잠재구직자'와 구직활동을 했으나 취업이 불가능한 '잠재취업가능자'의 합입니다.
- **고용보조지표 3**: 시간 관련 추가 취업가능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를 모두 포함하여 계산한 지표입니다. 이는 고용 시장의 유휴 생산능력을 보다 포괄적으로 반영합니다[2][10][21].
## **최근 고용보조지표-3 조사 결과**
2024년 3월 기준으로, 고용보조지표-3는 14.3%로 나타났습니다. 이는 고용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, 실업률이 4.3%인 것과 비교할 때 상당히 높은 수치입니다. 고용보조지표-3은 시간 관련 추가 취업가능자와 잠재경제활동인구를 포함하여 계산되므로, 경제 내에서 일하고 싶지만 일자리를 찾지 못한 사람들의 비율을 더 잘 나타냅니다[2][10][28].
이러한 지표들은 고용 시장의 흐름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데 도움을 주며, 지역별, 연령별로 세분화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정책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최근 통계에 따르면, 고용보조지표-3의 수치는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, 이는 경제 회복 과정에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취업 기회를 찾고 있음을 시사합니다[2][10][28].
U-6
미국의 U-6 실업률은 노동시장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지표로, 공식 실업률(U-3)보다 더 넓은 범위의 실업 상황을 포함합니다. U-6 지표는 다음과 같은 그룹을 모두 포함하여 계산됩니다:
1. 공식 실업자(U-3에 포함된 실업자): 지난 4주간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했으며, 일할 준비가 된 사람들입니다.
2. 경제적 이유로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사람들: 풀타임 일자리를 원하지만, 경제적 여건 등으로 인해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근로자들입니다.
3. 한계 노동자: 최근 구직을 포기했지만, 일할 의사와 능력이 있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.
이러한 구성 요소를 모두 합산하여, U-6 실업률은 노동시장의 유휴 인력을 보다 포괄적으로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2025년 2월 기준 미국의 U-6 실업률은 7.5%로 보고되었습니다. 
U-6 지표는 공식 실업률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함하므로, 노동시장의 숨겨진 취약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지표로 활용됩니다.
[1] https://kostat.go.kr/boardDownload.es?bid=210&list_no=430420&seq=1
[2] https://www.kyeonggi.com/article/202105041165252
[3] https://www.mcc.gov/who-we-select/indicator/employment-opportunity/
[4] https://www.index.go.kr/openApi/meanAnaly.do?idntfcId=508E22S1C81A4010&ixCode=1494
[5] https://ec.europa.eu/eurostat/databrowser/view/NAMQ_10_PE__custom_984325/default/table?lang=en
[6] https://www.enterprisesurveys.org/en/employment-indicators
[7] https://www.ceicdata.com/en/brazil/continuous-national-household-sample-survey-monthly/employment-auxiliary-family-worker
[8] https://yaktack.com/words/auxiliary%20indicators
[9] https://floridajobs.org/local-workforce-development-board-resources/program-monitoring-and-reports/state-program-reports/common-measures-performance-reports
[10] https://www.bok.or.kr/portal/bbs/B0000217/view.do?menuNo=200144&nttId=218664
[11] https://www2.korea.kr/briefing/policyBriefingView.do?newsId=156670324&pWise=sub&pWiseSub=J1
[12] https://www.eustat.eus/elementos/tbl0006193_i.html
[13] https://blog.naver.com/pause3103/223678317748
[14] https://nap.nationalacademies.org/read/26101/chapter/5
[15] https://www.kli.re.kr/kliFileDownload?fileName=95B3CF90318F062649257DCF00304E01_0.pdf&fileNameOrg=KLI_%EA%B3%A0%EC%9A%A9%EB%85%B8%EB%8F%99%EB%A6%AC%ED%8F%AC%ED%8A%B8%20%EC%A0%9C60%ED%98%B8_%EC%B5%9C%EC%A2%85(web).pdf&filePath1=jsphome/DATA/pblctList/issue/95B3CF90318F062649257DCF00304E01
[16] https://storyroty.tistory.com/72
[17] https://www.istat.it/en/dataset/employment-and-unemployment-indicators-for-labour-market-areas-in-italy-years-2006-2022/
[18] https://www.economy.com/united-states/primary-industries-employment
[19] https://www.bls.gov/opub/mlr/subject/e.htm
[20] https://data.ecb.europa.eu/methodology/labour-market
[21] https://www.hani.co.kr/arti/economy/economy_general/743679.html
[22] https://ec.europa.eu/eurostat/documents/16624/10088606/technical_note_proposal_mip_aux_indicators_revision_2018_final.pdf/
[23] https://www.cso.ie/en/releasesandpublications/ep/p-macip/macip18/ai/
[24] https://www.bls.gov/opub/mlr/program/
[25] https://careersourceheartland.com/employers/employer-resources/labor-market-information/
[26] https://www.index.go.kr/unity/potal/main/EachDtlPageDetail.do?idx_cd=1494
[27] https://www.oecd.org/en/data.html
[28] https://news.sbs.co.kr/news/keywordList.do?keyword=%EA%B3%A0%EC%9A%A9%EB%B3%B4%EC%A1%B0%EC%A7%80%ED%91%9C3
[29] https://www.index.go.kr/unity/potal/main/EachDtlPageDetail.do?idx_cd=1495
[30] https://www.gallup.com/401384/indicator-hybrid-work.aspx
[31] https://www.bls.gov/news.release/empsit.t15.htm
[32] https://m.blog.naver.com/hnstat/221950368803
'AI 팩트 체크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이재명 '월급쟁이, 실질임금 감소하고 세금만 늘었다.'" 분석 (0) | 2025.02.19 |
---|---|
”바라카 원전 운영 관리비 등 100년 동안 수백조원 이득“ 분석 (0) | 2025.02.11 |
바라카 원전 공사비 증가와 한전·한수원 갈등 분석 (0) | 2025.02.11 |
"현대건설, '20조 원 규모 불가리아 원전공사' 설계 계약 체결" 분석 (8) | 2024.11.05 |
한국 주식 시장에서 외국인이 떠나는 이유 (4) | 2024.10.29 |